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화장실에서 잠깐 영어공부하기
- 곱셈12단카드게임
- 정십이면체겉넓이
- 영어
- 서울아타트
- 미스터리
- 아베신조사과
- 명언으로 배우는 중국어
- 정십이면체높이
- 순간반사능력상승
- 정치코믹풍자
- 창작이야기
- 곱셈12단게임
- 스릴러
- 집중력상승
- 뺄셈
- 타원 넓이증명과 풀이
- 중국어
- 타원 둘레
- 정십이면체부피
- 창작수하
- 사랑과배신
- 경제풍자코믹
- 신경제도시
- 암기력상승
- 명언
- 미스터리스릴러
- 창작 이야기
- 하늘나비
- 덧셈문제
- Today
- Total
목록하늘나비의 소소한 99% 창작공간 (261)
하늘나비의 소소한 창작이야기1-수학이야기-
중력은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 예로 토성의 띠, 지구가 달을 잡아당기는 힘 등이 대표적인 예다. 당기는 힘을 중력이라고 가정하게 되면 우주 공간에 무중력인 상태는 그리 크지 않다. 행성들은 서로 당기는 힘 즉 융합에 힘을 지니고 있어 물체를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단지 우리 인간들이 느끼고 볼 때엔 우주 공간엔 힘은 0이라고 착각하고 있을 뿐이다. 우주 공간에서 물체의 반응속도가 너무 작기 때문에 느끼는 현상이다. 중력은 대기권에서 지표면으로 당기는 힘이며, 우주 공간에서 행성들의 힘은 융합을 위한 힘인 ja다. 지구와 달 사이엔 중력이 생길 수가 없으며, 그곳은 무중력인 상태다. 무중력과 중력을 일단 나누는 게 중요하다. 반응속도로 나눠야 할 듯하다. 물체 n을 떨어뜨릴 때에 즉시 반응할 때..
공간법칙 m=n, n=R(거리), R에 따라 무게 값이 변함. 1i는 중력가속도가 발생하는 지점이다. 예를 들어 지구 대기에서 n(물체)을 공중에서 떨어뜨리게 되면 바로 반응하는 거리를 뜻한다. 지구 80km라고 가정할 때 달은 2,40km로 예상한다. 이 공간을 1i라고 한다. 달의 1i는 대기권이 존재하지 않고 탄소 같은 물질량도 제로의 가깝다, 지구 물질량이 크기 때문에 대기 공간이 작아지게 되며 이때 무게를 누르는 힘이 더해진다. 지구의 자전공전의 속도 ja5대 마찰, ja P저항력 이 더해지므로 떨어지는 속도와 길이가 길어진다. P 속성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대기권에 수분이 많으면 많을수록 떨어지는 속도 즉 중력이 높아진다. 2i는 지구1i, 달1i를 뺀 거리를 우주공간 뜻한다. 이때 지구와 ..
하나의 우주가 대폭발 그로인한 빅뱅이 일어났다는 가설이 있다. 또한 만유인력은 그 힘에서 발달한 힘이다. 우주 공간에서 존재하는 힘. 삶의 의치, 기본의 의치들을 모두 배제한 가설이다. 어떤 의치도 두 개가 기본이다. 우주의 탄생에서 일차원 두 공간이 존재한다. 하나의 공간은 -(음자)며, 또 하나의 일차원 공간은 +(양자) 각각 일차원엔 수많은 원자들이 존재한다. 이 두 일차원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게 현 우주 공간이다. 각각 다른 +- 원자들은 융합하게 되면서 엄청난 융합과 화학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화학작용으로 분열이 일어나게 되며, 팽창하게 되며, 대폭발을 일으키게 된다. 팽창된 암흑공간으로 분열된 +-가 만나 융합과정에서 빅뱅들이 만들어진다. 융합, 화학, 분열 폭발에서 팽창하기도 하고, 수..
천천히 다시 정리해야히지하고 방치한지도 별써 십여 년이네요. 그냥..... 올려봅니다. 누군가에게 아이디어가 되어줄 수도 있을 테니까요. 그러고보니.... 수정 및 다시 정리해야할 게 넘쳐나네요. 죽을 때까지해도 부족할 만큼... 점점... 이 모든 게 허무가 아닐까하네요. 그래서 우주양면이론 죽음에 대해서만 풀어볼까하면서 10여년 전에 생각했던 것을 풀어놓습니다. 이 이야기는 학교 기존 이론, 가설과 연관성이 없으므로 시험문제에 나오지 않습니다. 또한, 책에 정해진 이야기와 다를 수도 있습니 다. 그러므로 스스로 판단하고 읽으시길 바랍니다. 우주이론은 그 어떤 이론도 완벽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이 우주이론이 혹시...ㅋ 근접할 수도 있지 않을까 망상해보면 만들어봤던 겁니다. 지표면 근..
삶 인간에겐 수많은 감정이 존재한다. 행복과 기쁨, 불행과 슬픔 등... 상하, 좌우, 남녀, 음과 양... 이처럼 우리들이 살아가는 삶은 쌍을 이루어져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현재 고통스럽고 죽을 것만 같다면 이 후에 필히 당신에게도 행복한 날이 찾아올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고통 슬픔은 다음에 찾아올 행복과 축복의 전조곡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치를 벗어나는 일도 다반사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우리가 삶에서 할 수 있는 일이란 자신 스스로 자신을 믿을 수밖에 없다. 행복하다. 나는 축복받았다.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위대하다. 나는 최고다라고, 그렇게 자아최면 마인드컨트롤을 걸어야 한다. 그래야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운 일이 찾아오더라도 그 고통에서 벗어날 힘이 만들어지게 된다...
시간 시간을 논하다 우리 인간들에게 시간이란 과거가 없으면 현재와 미래는 존재할 수가 없다. 미래가 존재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미래는 과거를 위해 존재하는 시간이다. 이것을 역사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역사가 아닌 자신의 삶을 얘기하는 것이다. 현재, 현재란 단어는 불확실성하다. 시간의 개념 시간의 흐름에서 현재란 단어가 나오는 순간 시간이 흘러 과거가 되어버린다. 그러므로 현재는 불확실하며, 미래는 우리가 살아있는 순간이라고 할 때 과거는 이 모든 것을 기록한 시간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라지지 않고 유일하게 남는 시간은 과거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지금 실수하거나 고통을 느꼈을 때 영원한 시간 과거에서 무한으로 반복되게 된다. 현재 지금을 실수 후회가 ..
인생 인생이란 자체는 참으로 신기하고 엽기적이다. 자신이 그렇게 노력하고 바라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어떤 이에게 너무나도 쉽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 그는 우리들이 모르는 곳에서 그만큼의 대가를 지불했다. 또한 당신이 실패했다면 그것은 결과물만 보고 최선을 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자신은 최선을 다했다고 한다면 그것은 자신의 그릇이다. 그렇듯 자신의 그릇에 욕심으로 가득 채운다고 하더라도 넘치며 흐르게 마련이다. 인생은 순리대로 즐기며 살다보면 언젠간 자신에게도 좋은 날이 찾아온다. 긍정과 믿음만이 자신의 현재 행복과 미래의 행복을 찾는 최선의 방책이다. *어린 시절 꿈은 자신의 젊음을 위한 것이라면, 노후의 꿈은 사후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꿈은 성장시키는 원동력 목표가 되어준다. 그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