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하늘나비의 소소한 창작이야기1-수학이야기-

하늘나비의 우주양면이론-푸앵카레의 추측과 우주 팽창과 압축 원리를 풀다.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하늘나비의 우주양면이론-푸앵카레의 추측과 우주 팽창과 압축 원리를 풀다.

jun.DK 2019. 12. 23. 22:27

 

우주를 한 점으로 압축했을 때 구체인가? 도넛처럼 구멍이 뚫려 있는가란 물음이다. 수학계는 2차원, 3차원, 4차원, 5차원까지 구체라고 정리를 내렸다.

우리들은 수학이란 문제를 푸는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높다. 반대로 문제를 만들어내고 제시하는 자체도 어려운 수학이다.

 

정사각형 단일폐곡선을 180도 채워놓았을 때 F구멍뚫인 원이 만들어진다.

점이 모여서, 선이 되며, 선이 연결 될 때 단일폐곡선이다. 폐곡선 안에 점(물질)이 채워질 때 2차원 넓이가 된다. 2차원 넓이=a²인 정삭가형넓이이다. 2차원 넓이를 쌓일 때 부피 3차원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정사각형 한 변이 0보다 클 때 중앙은 막힌 것처럼 보이게 되며, 한 변의 길이가 0일 때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일폐곡선 정사각형을 정사각형 넓이를 겹칠 때 3차원 부피가 된다. 이때, 그림E처럼 둘레는 편면 둘레가 만들어지며, 안 쪽 구멍은 부피가 된다. , 수학도 과점에 따라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며 새로운 답을 얻을 수가 있다.

A도넛형태가 중력이라고 할 때 원안에 있는 질량을 끌어당기게 된다. 서로 당기는 힘에 의해 중앙에 구멍이 만들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구멍뚫인 자석에다가 안에 철가루를 뿌려놓았을 때 자석은 철가루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안쪽공간은 비게 된다.

B도넛형태가 반중력이라고 할 때 원안에 있는 질량을 밀어내게 된다. 그렇게 질량은 중앙에서 뭉치게 된다.

 

 

따라서 AF중력장이 발생할 때 블랙홀이 만들어지며, 블랙홀 같은 원리로 질량이 쌓여서 구체가 만들어지며, 구체안에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블랙홀에서 행성들을 잘게 분자로 만드는 이유는 성분을 나누기 위해서다.

반대로 한 점이 구체인 BF반중력장이 만들어질 때 질량을 밀어내게 되므로 팽창, , 빅뱅이 만들어지게 된다. , 블랙홀 중심공간에서 강력한 중력장이 만들어질 때 서로 당기려는 힘에 의해 중앙공간은 뚫리게 된다.

따라서 푸앵카레의 추측은 반대다. 우주를 한 점으로 압축 될 경우, 구멍뚫인 3차원이 만들어지게 되며, 이때 만들어지는 형태는 도넛형이 아니라, 구멍뚫인 원기둥이다.

머리속에 있는 것을 가볍게 정리해보다.

계속...ㅋ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