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창작 이야기
- 화장실에서 잠깐 영어공부하기
- 덧셈문제
- 순간반사능력상승
- 명언
- 곱셈12단게임
- 정치코믹풍자
- 신경제도시
- 미스터리
- 중국어
- 영어
- 정십이면체부피
- 정십이면체겉넓이
- 정십이면체높이
- 창작수하
- 암기력상승
- 하늘나비
- 타원 넓이증명과 풀이
- 곱셈12단카드게임
- 아베신조사과
- 스릴러
- 경제풍자코믹
- 미스터리스릴러
- 명언으로 배우는 중국어
- 서울아타트
- 뺄셈
- 타원 둘레
- 집중력상승
- 사랑과배신
- 창작이야기
- Today
- Total
하늘나비의 소소한 창작이야기1-수학이야기-
우리는 경제지식을 얻은 대신에 가장 중요한 것을 잃었다. 본문
두 번째 깨달음
우리는 경제지식을 얻은 대신에 가장 중요한 것을 잃었다. 그것은 정이다. 우리들은 90년 대 기준 너무 많은 경제지식을 얻었다. 그러나 경제지식이 부족했던 90년대는 정이 넘쳤다. 이웃사촌이란 말도 존재할 정도로 서로 돕고 도왔다.
현재, 경제지식이 넘쳐나는 지금은 어떠한가? 개인주의가 되어버렸다. 차별이 더욱 심해졌다.
자기애가 깊어지면 깊어질수록 사회는 편견과 차별이 발생하게 되며, 갑질문화가 탄생하게 된다.
우리는 입으로 차별을 없애겠다면 인권위 등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과거보다 현재가 더 많은 차별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아는 자는 없다. 그 당시엔 극과 극의 차별이 존재했다면 지금은 경제학적 차별이 일어난다. 이웃 간의 문을 굳게 닫는 자체도 차별이다. 이웃을 믿지 못하는데서, 사회를 믿지 못하는데서 더욱 문을 굳게 닫고, 담은 하늘 높이 쌓는다. 이것은 경제지식을 얻으면 얻을수록 나타는 보편적인 행위다. 경제적 지식이 부족할 때엔 담이 없고 이웃 간의 문도 없었다. 따라서 경제지식인은 특별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경제지식으로 인하여 현재 사회가 삭막해지는 원동력이다. 그러므로 너무 과도한 경제지식은 독이며, 악마의 사탕이다. 이런 경제 원리를 구축하는 데 있어. 유태인들이 한몫했다. 특허, 저작권, 보험사 금융 등을 최초로 시작한 곳이 유태인들이란 설이 존재한다. 또한 미국 경제의 70%를 장악했다는 설들도 있다.
경제학이란 그런 것이다. 악마들의 학이다. 그런 악마학에 노출된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면 가질수록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욕심에 담을 높이고, 금고를 이중삼중으로 만든다. 즉, 경제의 노출될수록 절대 자신의 쥔 것을 남과 나누려고 하지 않는 이유가 경제학지식이다. 경제학은 돈을 버는 것만이 아니라 돈을 잘 지키는 방법도 가르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돈을 지키기 위하여 담을 높이 쌓아야 하고, 금고를 이중삼중으로 만들어야 한다.
만약 경제학에 노출된 자들은 커다란 창고에서 사과가 썩어도 굶어죽는 사람들에게 단 하나의 썩는 사과도 베풀지 못한다. 왜냐구. 썩어가는 사과를 굶어죽는 사람들에게 나눠줄 때 사과값이 다운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과가 빨리 썩기를 바란다. 왜냐구. 그것을 물량이 줄어들게 될 때 비싸게 팔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학 노출되지 않은 사람인 경우 그냥 서로 나눈다. 경제학을 멀릴 하게 될 때 자연스럽게 가난해지게 마련이다. 왜냐구, 그들은 자신의 집 부엌 한 컷에 사가하나가 있으면 옆에서 굶주린 사람에게 반을 나눠주기 때문이다.
현재 경제학에 노출된 사람들에게 어리석은 짓이라고 보인다. 그럴 것이다. 경제학에선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처럼 경제에 노출되지 않았을 때 서로 나뉘게 된다. 왜냐구? 왜일까요?
그렇다. 자신인 배고파본 적이 있었기 때문에 보이는 현상이다. 상대성효과다. 즉 배고픔을 공감한데서 반사적으로 나오는 행위다. 그래서 8,90년 대엔 이웃집이나 친구 집에 놀려갔을 때 밥먹으라고 그렇게 얘기했던 것이다. 지금은 어디를 가더라도 밥먹었느냐, 밥먹으라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밥먹으라고하는 게 비매너처럼 생각하게 되었다. 이게 과거 경제학 지식이 부족했던 시절과 현재 경제학에 과도하게 노출된 차이다.
그래서 잘 먹고 잘 사는 사람들은 절대 남에게 베푸는데 익숙하지 않은 이유가 이곳에서 찾을 수 있다. 자신이 배고파 본 적이 없으므로 그들이 배고픔이 어떤 고통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들의 정치를 한번 크게 물갈이를 할 필요가 있다. 배고파본 자들로 그래야 서민을 위해 그들은 발 벗고 나선다. 명문대, 금수저, 그들은 배고픔을 글로 배운 자들이므로 절대로 서민의 고통을 통감할 수 없다. 그러므로 서민을 위한 법을 만들고도 통과하지 않는 이유는 이런 원리 때문이다. 그들 자신들에게 필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정치인들을 모두 물갈이해야 한다. 오로지 인물만 놓고 판단해야 한다. 여야를 나누는 순간, 사회는 제자리걸음에서 그리 멀리 나가지 못할 것이다. 특히 여야 대구리들 위쪽으로 많이 쳐내야 한다. 그리고 새롭고 깨끗한 물을 공급해야 한다. 신선한 인물들...로. 그래야 사회는 조금 더 풍요로운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